슬롯 머신 이기는 방법 ㉻ 바다이야기 프로그램 ㉻
페이지 정보
written by 호남수래 작성일25-08-09 06:14 view4회 comment0건관련링크
-
http://64.ren327.top 0회 연결
-
http://75.ryp383.top 0회 연결
본문
10원야 마토 ㉻ 바다이야기 게임방법 ㉻㎃ 97.rmt583.top ↘반포면 남산소리 호적단자에 광주안씨가 남필복의 자부로 기재돼 있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광주안씨가 살았던 남산소리에 건립된 남산영당. 남산영당은 광주안씨의 7대조 남이웅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을사년(1785) 삼월 초하룻날, 아내 광주안씨는 삼가 낭군의 영령 아래에서 통곡하노니 오호 통재라! 당신이 이제 돌아가시매 부모님께서 다 살아계시니 지하에서 눈을 감지 못하리로다. 오호 통재라! 믿지 못할 바는 하늘이라. 차마 어찌 재앙을 받음이 이에 미칠 줄 생 아파트담보대출이율 각하였으리요? 서로 만난 지 십칠 년이로되 당신이 여러 달을 나가 지내시는 일이 잦았으니, 기실은 한 방에 동거함이 십년이 못되었도다. 사람이 목석이 아닌지라, 살아가매 긴 날의 북받치는 설움을 어찌 견디리오. 슬프고 슬프도다! 우리 서로의 바람이 길이 백년을 기약하여 태산과 반석같이 믿었더니, 차마 어찌 이 지경에 이를 줄 생각하였으리요? 오호 슬프도다! 집담보대출연말정산 당신의 인후한 마음씨로 재앙이 이에 이를 줄 어찌 생각하였으리요? 여자의 삼종지의 있다하나 자식이 장성하지 못하였으니 당당히 뒤를 따를 것이로되, 저승과 이승이 가로막혀있으니 서로 말함이 없으나 당상의 부모님과 슬하의 세 아들을 내게 의탁하였을 것이니, 이 뜻을 저버리지 못하여, 하늘에 사무치는 설움을 끊고 규방의 쇠잔한 목숨을 보전하나, 길고 긴 날에 1년에 천만원 투쟁하고자하나, 어찌 오래하기를 믿으리오. 오호 슬프도다! 당신이 세상을 버린 지 이미 사십일이요, 어느덧 삼월 초하루라. 마음은 서로 말할 듯한데 향할 곳이 없고, 의연히 얼굴을 보는 듯한데 저승과 이승의 사이가 가로막혔으니 서로 보기가 어렵도다. 오호 통재라! 여자 출가하매 지아비는 하늘이니, 하늘이 무너지면 사람이 능히 살지 못하니, 당당히 살지 못할 유료백신 개인용 가격? 터이로되, 아들을 보호하여 조상의 대를 잇고자 하니 이 하늘에 사무치는 서러움을 어찌 참아낼 바 이리요? 지난해 십일월에 내 병이 중하니, 내가 죽을까 염려하여 바라보고 눈물을 머금고 탄식을 하시더니, 나의 이 무궁한 설움을 끼칠 줄 생각이나 하였으리요? 아! 슬프고 슬픔이여. 더욱 슬퍼하는 것은 머리카락 흰 부모님이 슬하의 몹시 쓸쓸해 보여 모실 길이 장부금액 없으니 이 설움을 참을 바리요? 나의 삼생의 죄악이 켜켜이 쌓여 (친정)부모님이 이미 돌아가시고 집이 멀어, 주야의 서러워함을 (시부모님이)가히 불쌍히 여기시더니, 내가 차마 또 이 지경에 이를 줄 생각이나 하였으며, 내 진정 품은 회포를 누구와 더불어 펼쳐 보리요? 생각하니 참기 어렵고, 또 견디기 어렵도다. 여자의 아지 못하는 식견으로 하늘에 사무치는 식견을 어이 다 펼치리오. 혼령이 앎이 있을진대, 나의 하늘에 사무치는 소회를 살필지어다."
이 제문은 광주안씨(1752-?)가 33세의 나이로 세상을 하직한 남편 남영(南泳, 1753 -1785)의 죽음을 애도하며 한글로 지은 것이다. 광주안씨는 이 한 편의 제문을 통해 저승의 영령이 된 남편을 향해 북받치는 설움을 토해내며, 자신의 견뎌내기 어려운 삶의 무게를 표현해 냈다.
광주안씨의 할아버지 순암 안정복의 초상.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조선후기 실학가 집안에서 태어난 여성지식인=광주안씨는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대가 순암 안정복(安鼎福, 1712-1791)의 손녀이다. 안정복은 근기실학의 한 유파를 형성한 대학자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제자로, 경세치용의 역사학에 많은 저술을 남겼다.
아버지 안경증(安景曾, 1732-1777)은 31세 때인 1762년 성균 생원에 뽑혀 성균관에 들어갔다. 어렸을 때 앓은 학질이 빌미가 되어 병을 앓다가 46세의 나이로 졸했다. 어머니 파평윤씨(?-1767)는 아버지보다 10년 먼저 세상을 하직했다. 광주안씨는 부모 사이에서 1남 2녀 중 첫째 딸로 태어났으나, 일찍 부모를 여읜 슬픔을 안고 살았다.
광주안씨는 인조 대에 좌의정을 지낸 춘성부원군 남이웅(南以雄, 1575-1648)과 조애중(曺愛重, 1574-1645) 부부의 7대 손부이다. 남이웅은 이괄의 난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 3등 춘성군에 봉해졌고, 조애중은 병자호란 시 피난여정을 한글일기로 기록한 '병자일기'의 저자로 널리 이름이 알려졌다. 시아버지는 남필복(南必復, 1729-1809), 시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광주안씨의 남편은 남영(南泳, 1753-1785)이다. 광주안씨의 시가는 남이웅→남두상→남중소→남수규→남하성→남질→남필복→남영으로 이어지는데, 광주안씨의 시아버지 남필복이 안정복의 문하생이었던 인연으로 혼인이 이루어졌다.
◇ 광주안씨의 시가가 공주 반포 남산소리(현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에 살게 된 사연=광주안씨의 7대 시조부모 남이웅·조애중 부부는 서울 성명방(誠明坊)에서 살았는데, 시할아버지 남질 대에 이르도록 줄곧 한양에서 거주했다. 그러다가 선대로부터 세거해오던 한양 생활을 접고, 공주 남산소리로 최초 입향한 사람이 시아버지 남필복이다.
남필복이 남산소리로 이주해 온 사유와 시기는 정확하지는 않다. 그러나 의령남씨 후손 가에 전해지고 있는 남필복 관련 호적문서와, 남필복과 사돈 관계이면서 스승인 안정복의 기록, 남필복의 '억가아(憶家兒)' 시 등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안정복은 특별히 남필복의 장녀 남씨(1757-1775)의 묘지명을 지은 바 있다. 장녀 남씨는 이인운(李寅運)에게 시집을 갔는데, 19세에 홍역을 앓다가 죽었다. 안정복의 묘지명에 의하면 남필복은 '1757년에 한양에서 딸을 낳았고, 그 뒤에 공주로 이사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남필복은 '억가아' 시에서 "백년의 고향 땅이 오늘 타향이 되었다. 낙양은 곧 조상 대대로 살아온 고향인데, 부모 형제가 영락하여 머물러 살 수가 없었다"라고 읊었다. 백년의 고향인 한양이 타향이 되고, 타향인 공주가 고향이 되는 지점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살펴볼 때, 남필복은 부모 형제가 영락하여 더 이상 서울 살림이 어려웠고, 남이웅 부부의 묘소가 있고, 경작할 땅이 있는 공주 남산소리로 이거를 결행한 것으로 보인다.
광주안씨의 친필 '제문'. 1785년 3월. 36.5㎝×75㎝. 남기옥씨 제공
◇ 오호 통재라! 33세로 요절한 남편에게 바치는 제문=광주안씨의 남편이 서른세 살 되던 해 1월 19일 갑자기 병을 얻어 죽게 되었다. 이 때 슬하에는 인정(鱗正)과 익정(翼正)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각각 14세와 8세였다. 광주안씨는 하늘을 향해 울부짖으며 "믿지 못할 것이 하늘"이라고 원망을 쏟아냈다.
남편과의 부부생활은 햇수로는 17년이나 됐지만, 실질적인 동거는 10년이 못된다고 회고했다. 남편이 집 밖으로 출입이 잦았던 까닭이다. 광주안씨는 남편과 백년해로 할 것을 태산과 반석처럼 그렇게 믿었건만, 이 지경이 될 줄은 차마 생각지도 못했다고 통탄했다.
남편을 뒤따라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여자의 삼종지도이나, 자신이 살아 남아있는 이유는, 어린 두 아들과 시부모 봉양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 절박한 현실 속에서도 죽음을 선택하지 못한 자신의 고뇌, 곧 조선이라는 시대가 죽은 남편에 대해서 살아있는 여성의 태도를 주시했던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했음을 표현했다. 광주안씨는 특별히 남편이 죽기 전 해에 자신이 병에 걸려 위독하였는데, 그 때 남편이 자신을 바라보며 염려하고, 눈물을 머금고 탄식한 광경을 떠올리며 자신의 설움이 더욱 크다고 말하였다.
광주안씨는 이 한 편의 제문에서 일곱 차례나 '오호 통재!(오호 석재, 차호 차호)'를 외침으로써, 그 탄식과 설움을 눈물로 써 내려갔다. 삼십을 갓 넘긴 광주안씨는 어린 두 자녀와 시부모 봉양, 살림이라는 인생의 대 전제 앞에서, 그 누구와도 서러운 심사를 펼쳐 내기 어려웠다. 마음이 북받쳐 견뎌내기 어려운 비통함을, 하늘과 대답 없는 남편을 향하여서 울부짖으며, 통곡 또 통곡하였다. 남편을 잃고 살아가야 할 한 여인의 애절한 상황이 잘 나타나 있다.
광주안씨의 시아버지도 4월에 아들의 발인을 앞두고 제문을 썼다. 이 제문에 의하면, "너의 아내가 소리소리 피눈물을 흘려 마디마디 창자가 끊어지는데, 어찌 그 기운이 탕진하는 지경에 이르지 않겠느냐? 네가 만약 캄캄함 속에서 절반이라도 아는 바가 있다면, 아비 걱정은 말고 네 아내가 몸이 손상되는데 이르지 않도록 도와 달라"고 그 한량없는 부정(父情)을 에둘러 표현했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광주안씨가 살았던 남산소리에 건립된 남산영당. 남산영당은 광주안씨의 7대조 남이웅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을사년(1785) 삼월 초하룻날, 아내 광주안씨는 삼가 낭군의 영령 아래에서 통곡하노니 오호 통재라! 당신이 이제 돌아가시매 부모님께서 다 살아계시니 지하에서 눈을 감지 못하리로다. 오호 통재라! 믿지 못할 바는 하늘이라. 차마 어찌 재앙을 받음이 이에 미칠 줄 생 아파트담보대출이율 각하였으리요? 서로 만난 지 십칠 년이로되 당신이 여러 달을 나가 지내시는 일이 잦았으니, 기실은 한 방에 동거함이 십년이 못되었도다. 사람이 목석이 아닌지라, 살아가매 긴 날의 북받치는 설움을 어찌 견디리오. 슬프고 슬프도다! 우리 서로의 바람이 길이 백년을 기약하여 태산과 반석같이 믿었더니, 차마 어찌 이 지경에 이를 줄 생각하였으리요? 오호 슬프도다! 집담보대출연말정산 당신의 인후한 마음씨로 재앙이 이에 이를 줄 어찌 생각하였으리요? 여자의 삼종지의 있다하나 자식이 장성하지 못하였으니 당당히 뒤를 따를 것이로되, 저승과 이승이 가로막혀있으니 서로 말함이 없으나 당상의 부모님과 슬하의 세 아들을 내게 의탁하였을 것이니, 이 뜻을 저버리지 못하여, 하늘에 사무치는 설움을 끊고 규방의 쇠잔한 목숨을 보전하나, 길고 긴 날에 1년에 천만원 투쟁하고자하나, 어찌 오래하기를 믿으리오. 오호 슬프도다! 당신이 세상을 버린 지 이미 사십일이요, 어느덧 삼월 초하루라. 마음은 서로 말할 듯한데 향할 곳이 없고, 의연히 얼굴을 보는 듯한데 저승과 이승의 사이가 가로막혔으니 서로 보기가 어렵도다. 오호 통재라! 여자 출가하매 지아비는 하늘이니, 하늘이 무너지면 사람이 능히 살지 못하니, 당당히 살지 못할 유료백신 개인용 가격? 터이로되, 아들을 보호하여 조상의 대를 잇고자 하니 이 하늘에 사무치는 서러움을 어찌 참아낼 바 이리요? 지난해 십일월에 내 병이 중하니, 내가 죽을까 염려하여 바라보고 눈물을 머금고 탄식을 하시더니, 나의 이 무궁한 설움을 끼칠 줄 생각이나 하였으리요? 아! 슬프고 슬픔이여. 더욱 슬퍼하는 것은 머리카락 흰 부모님이 슬하의 몹시 쓸쓸해 보여 모실 길이 장부금액 없으니 이 설움을 참을 바리요? 나의 삼생의 죄악이 켜켜이 쌓여 (친정)부모님이 이미 돌아가시고 집이 멀어, 주야의 서러워함을 (시부모님이)가히 불쌍히 여기시더니, 내가 차마 또 이 지경에 이를 줄 생각이나 하였으며, 내 진정 품은 회포를 누구와 더불어 펼쳐 보리요? 생각하니 참기 어렵고, 또 견디기 어렵도다. 여자의 아지 못하는 식견으로 하늘에 사무치는 식견을 어이 다 펼치리오. 혼령이 앎이 있을진대, 나의 하늘에 사무치는 소회를 살필지어다."
이 제문은 광주안씨(1752-?)가 33세의 나이로 세상을 하직한 남편 남영(南泳, 1753 -1785)의 죽음을 애도하며 한글로 지은 것이다. 광주안씨는 이 한 편의 제문을 통해 저승의 영령이 된 남편을 향해 북받치는 설움을 토해내며, 자신의 견뎌내기 어려운 삶의 무게를 표현해 냈다.
광주안씨의 할아버지 순암 안정복의 초상.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조선후기 실학가 집안에서 태어난 여성지식인=광주안씨는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대가 순암 안정복(安鼎福, 1712-1791)의 손녀이다. 안정복은 근기실학의 한 유파를 형성한 대학자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제자로, 경세치용의 역사학에 많은 저술을 남겼다.
아버지 안경증(安景曾, 1732-1777)은 31세 때인 1762년 성균 생원에 뽑혀 성균관에 들어갔다. 어렸을 때 앓은 학질이 빌미가 되어 병을 앓다가 46세의 나이로 졸했다. 어머니 파평윤씨(?-1767)는 아버지보다 10년 먼저 세상을 하직했다. 광주안씨는 부모 사이에서 1남 2녀 중 첫째 딸로 태어났으나, 일찍 부모를 여읜 슬픔을 안고 살았다.
광주안씨는 인조 대에 좌의정을 지낸 춘성부원군 남이웅(南以雄, 1575-1648)과 조애중(曺愛重, 1574-1645) 부부의 7대 손부이다. 남이웅은 이괄의 난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 3등 춘성군에 봉해졌고, 조애중은 병자호란 시 피난여정을 한글일기로 기록한 '병자일기'의 저자로 널리 이름이 알려졌다. 시아버지는 남필복(南必復, 1729-1809), 시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광주안씨의 남편은 남영(南泳, 1753-1785)이다. 광주안씨의 시가는 남이웅→남두상→남중소→남수규→남하성→남질→남필복→남영으로 이어지는데, 광주안씨의 시아버지 남필복이 안정복의 문하생이었던 인연으로 혼인이 이루어졌다.
◇ 광주안씨의 시가가 공주 반포 남산소리(현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에 살게 된 사연=광주안씨의 7대 시조부모 남이웅·조애중 부부는 서울 성명방(誠明坊)에서 살았는데, 시할아버지 남질 대에 이르도록 줄곧 한양에서 거주했다. 그러다가 선대로부터 세거해오던 한양 생활을 접고, 공주 남산소리로 최초 입향한 사람이 시아버지 남필복이다.
남필복이 남산소리로 이주해 온 사유와 시기는 정확하지는 않다. 그러나 의령남씨 후손 가에 전해지고 있는 남필복 관련 호적문서와, 남필복과 사돈 관계이면서 스승인 안정복의 기록, 남필복의 '억가아(憶家兒)' 시 등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안정복은 특별히 남필복의 장녀 남씨(1757-1775)의 묘지명을 지은 바 있다. 장녀 남씨는 이인운(李寅運)에게 시집을 갔는데, 19세에 홍역을 앓다가 죽었다. 안정복의 묘지명에 의하면 남필복은 '1757년에 한양에서 딸을 낳았고, 그 뒤에 공주로 이사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남필복은 '억가아' 시에서 "백년의 고향 땅이 오늘 타향이 되었다. 낙양은 곧 조상 대대로 살아온 고향인데, 부모 형제가 영락하여 머물러 살 수가 없었다"라고 읊었다. 백년의 고향인 한양이 타향이 되고, 타향인 공주가 고향이 되는 지점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살펴볼 때, 남필복은 부모 형제가 영락하여 더 이상 서울 살림이 어려웠고, 남이웅 부부의 묘소가 있고, 경작할 땅이 있는 공주 남산소리로 이거를 결행한 것으로 보인다.
광주안씨의 친필 '제문'. 1785년 3월. 36.5㎝×75㎝. 남기옥씨 제공
◇ 오호 통재라! 33세로 요절한 남편에게 바치는 제문=광주안씨의 남편이 서른세 살 되던 해 1월 19일 갑자기 병을 얻어 죽게 되었다. 이 때 슬하에는 인정(鱗正)과 익정(翼正)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각각 14세와 8세였다. 광주안씨는 하늘을 향해 울부짖으며 "믿지 못할 것이 하늘"이라고 원망을 쏟아냈다.
남편과의 부부생활은 햇수로는 17년이나 됐지만, 실질적인 동거는 10년이 못된다고 회고했다. 남편이 집 밖으로 출입이 잦았던 까닭이다. 광주안씨는 남편과 백년해로 할 것을 태산과 반석처럼 그렇게 믿었건만, 이 지경이 될 줄은 차마 생각지도 못했다고 통탄했다.
남편을 뒤따라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여자의 삼종지도이나, 자신이 살아 남아있는 이유는, 어린 두 아들과 시부모 봉양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 절박한 현실 속에서도 죽음을 선택하지 못한 자신의 고뇌, 곧 조선이라는 시대가 죽은 남편에 대해서 살아있는 여성의 태도를 주시했던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했음을 표현했다. 광주안씨는 특별히 남편이 죽기 전 해에 자신이 병에 걸려 위독하였는데, 그 때 남편이 자신을 바라보며 염려하고, 눈물을 머금고 탄식한 광경을 떠올리며 자신의 설움이 더욱 크다고 말하였다.
광주안씨는 이 한 편의 제문에서 일곱 차례나 '오호 통재!(오호 석재, 차호 차호)'를 외침으로써, 그 탄식과 설움을 눈물로 써 내려갔다. 삼십을 갓 넘긴 광주안씨는 어린 두 자녀와 시부모 봉양, 살림이라는 인생의 대 전제 앞에서, 그 누구와도 서러운 심사를 펼쳐 내기 어려웠다. 마음이 북받쳐 견뎌내기 어려운 비통함을, 하늘과 대답 없는 남편을 향하여서 울부짖으며, 통곡 또 통곡하였다. 남편을 잃고 살아가야 할 한 여인의 애절한 상황이 잘 나타나 있다.
광주안씨의 시아버지도 4월에 아들의 발인을 앞두고 제문을 썼다. 이 제문에 의하면, "너의 아내가 소리소리 피눈물을 흘려 마디마디 창자가 끊어지는데, 어찌 그 기운이 탕진하는 지경에 이르지 않겠느냐? 네가 만약 캄캄함 속에서 절반이라도 아는 바가 있다면, 아비 걱정은 말고 네 아내가 몸이 손상되는데 이르지 않도록 도와 달라"고 그 한량없는 부정(父情)을 에둘러 표현했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comment list
no comment